
멸종위기종 밀반입 고래고기 밀수 방조: 벌금 500만 원, 왜 처벌받았나? (법원 판결 5가지 포인트)
멸종위기종 밀반입 고래고기 밀수 방조: 벌금 500만 원, 왜 처벌받았나? (법원 판결 5가지 포인트)
여러분, 혹시 ‘국제적 멸종위기종’이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 전 세계적으로 숫자가 너무 많이 줄어들어서 곧 사라질지도 모르는 위기에 처한 동물이나 식물을 말해요. 호랑이, 판다, 그리고 오늘 이야기의 주인공인 ‘고래’ 중 일부 종류도 여기에 속한답니다. 🐳 이렇게 소중한 멸종위기종을 보호하기 위해, 여러 나라가 힘을 합쳐 이 동물들을 함부로 잡거나 거래하지 못하도록 약속하고 법으로 정해 놓았어요. 우리나라에서도 환경부 장관의 허가 없이는 멸종위기종이나 그것으로 만든 물건(가공품)을 함부로 외국에서 들여오거나(수입/반입) 외국으로 내보낼 수(수출/반출) 없답니다. 그런데 만약, 이런 법을 어기고 몰래 멸종위기종, 특히 고래고기를 우리나라로 들여오는 ‘밀반입‘ 행위를 돕는다면 어떻게 될까요? 🤔
“멸종위기종 밀반입? 그렇게 큰 잘못이야?”
“고래고기 밀수? 일본에서는 먹는다던데, 왜 우리나라에서는 안 돼?”
“직접 밀수한 게 아니라 그냥 도와주기만 했는데도 처벌받아? (‘방조‘의 의미)”
오늘은 이렇게 불법적인 멸종위기종 밀반입, 특히 ‘고래고기 밀수‘를 도와준 혐의(방조)로 벌금 500만 원을 선고받은 실제 법원 판결(부산지방법원 2025고단8) 이야기를 들려드릴게요. 법원이 왜 직접 밀반입하지 않은 사람에게도 벌금형을 선고했는지, 그 5가지 중요한 이유를 어린이나 어르신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차근차근 설명해 드릴게요! 멸종위기종 보호가 왜 중요한지, 그리고 불법 행위를 돕는 것도 큰 잘못이라는 것을 함께 알아보아요!

🚢 사건 속으로: 일본 → 한국, 은밀한 고래고기 밀수 작전 (멸종위기종 밀반입 과정)
오늘 이야기의 주인공은 일본에 사는 A씨입니다. A씨는 한국에 있는 B씨와 C씨에게 고래고기를 판매하는 일을 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발생합니다. 바로 이들이 거래한 밍크고래와 보리고래가 국제적으로 보호받는 ‘멸종위기종‘에 속한다는 점입니다!
1. B씨와 C씨의 고래고기 밀수 계획
한국에서 고래고기 식당을 운영하거나 유통하는 B씨와 C씨는 더 많은 고래고기를 구하기 위해 일본에 사는 A씨에게 연락했습니다. 일본에서는 일부 종류의 고래고기 유통이 허용되지만, 이를 한국으로 가져오는 것은 불법 멸종위기종 밀반입에 해당합니다. 하지만 B씨와 C씨는 돈을 벌 욕심에 불법적인 방법을 계획합니다.
그 방법은 바로, 여러 명의 운반책(짐꾼)을 모집해서 함께 일본으로 건너가 A씨로부터 고래고기를 사들인 뒤, 각자 여행용 캐리어나 배낭에 30kg씩 나눠 담아 마치 개인 짐인 것처럼 속여서 비행기를 타고 몰래 한국으로 들여오는 것이었습니다. 여러 사람이 나눠서 들여오면 세관의 감시를 피하기 쉬울 거라고 생각한 거죠. 이것이 바로 조직적인 고래고기 밀수, 즉 멸종위기종 밀반입 계획이었습니다.
2. A씨의 역할: 구매 대행과 운반 도움 (밀수 방조 행위)
A씨는 이러한 B씨와 C씨의 불법적인 계획을 알면서도 그들의 부탁을 들어주었습니다. A씨는 B씨와 C씨로부터 돈을 받고, 일본 오사카에 있는 ‘이와비 상점’이라는 곳에서 멸종위기종인 밍크고래와 보리고래 고기를 대신 구입했습니다. 그리고 약속된 장소(마트 주차장 등)에서 B씨, C씨와 운반책들에게 구입한 고래고기를 넘겨주었습니다. 심지어 이들이 고래고기를 가지고 공항까지 편하게 갈 수 있도록 자신의 차로 태워다 주기까지 했습니다.
이렇게 A씨는 직접 고래고기를 한국으로 들여오지는 않았지만, B씨와 C씨가 불법적인 멸종위기종 밀반입 범행을 더 쉽게 저지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 즉 ‘방조‘ 행위를 한 것입니다. A씨의 도움이 없었다면 B씨와 C씨의 고래고기 밀수는 훨씬 어려웠을 것입니다.
이런 방식으로 B씨 일당은 9차례에 걸쳐 총 1,800kg, C씨 일당은 3차례에 걸쳐 약 550~580kg의 멸종위기종 고래고기를 환경부 장관의 허가 없이 불법으로 국내에 밀반입했습니다.

⚖️ 법원의 판단: 멸종위기종 밀반입 방조, 왜 벌금 500만 원일까? (5가지 이유)
결국 B씨와 C씨 일당의 고래고기 밀수 행각은 덜미를 잡혔고, 이들을 도와준 A씨 역시 ‘멸종위기종 밀반입 방조‘ 혐의로 재판을 받게 되었습니다. 법원은 A씨에게 ‘벌금 500만 원’을 선고했습니다. 징역형은 아니지만, 결코 가볍지 않은 벌금입니다. 법원이 A씨의 ‘방조‘ 행위에 대해 유죄를 인정하고 벌금형을 선고한 5가지 중요한 이유를 살펴보겠습니다.
3. 이유 하나: ‘방조‘도 명백한 범죄! (돕는 것도 나쁘다)
법원은 가장 먼저, 다른 사람의 범죄를 도와주는 ‘방조‘ 행위 역시 처벌 대상이 되는 명백한 범죄임을 분명히 했습니다. 비록 A씨가 직접 고래고기를 한국으로 들여오지 않았더라도, 불법임을 알면서 멸종위기종인 고래고기를 대신 구매해주고 공항까지 태워다 주는 등 B씨와 C씨의 밀반입 범행을 더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기 때문에, 그에 대한 법적인 책임을 져야 한다고 판단했습니다. “나는 그냥 시키는 대로 했을 뿐”이라는 변명은 통하지 않는다는 거죠.
4. 이유 둘: 멸종위기종 보호는 국제적인 약속! (범죄의 중대성)
법원은 A씨가 밀반입을 도운 대상이 그냥 일반 물건이 아니라 ‘국제적 멸종위기종‘인 고래라는 점을 중요하게 보았습니다.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는 것은 특정 국가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 세계가 함께 노력해야 하는 중요한 약속입니다. 이러한 국제적인 약속과 국내법을 어기고 멸종위기종을 몰래 들여오는 행위는 생태계를 파괴하고 국제적인 신뢰를 떨어뜨릴 수 있는 심각한 범죄입니다. A씨의 방조 행위는 이러한 중대한 범죄를 가능하게 했다는 점에서 죄질이 좋지 않다고 판단했습니다.
5. 이유 셋: 반복된 범행과 상당한 물량! (죄질 불량)
A씨의 방조 행위는 한두 번에 그치지 않았습니다. 총 12차례에 걸쳐 멸종위기종 밀반입 범행을 도왔고, 그 과정에서 밀반입된 고래고기의 양도 총 2,300kg이 넘는 상당한 규모였습니다. 이렇게 여러 번 반복적으로 범행을 돕고, 그 결과로 많은 양의 멸종위기종 가공품이 불법적으로 국내에 들어오게 되었다는 점은 A씨에게 매우 불리한 사정으로 작용했습니다. 범행 횟수와 규모 자체가 죄질이 나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본 것입니다.

✨ 반성했지만 벌금형! (초범이고 수익 적어도 책임 있다)
재판 과정에서 A씨는 자신의 잘못을 모두 인정하고 반성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또한, A씨가 이번 범행으로 얻은 이익이 아주 크지는 않았고, 일본에서는 고래고기 유통이 일부 허용되다 보니 불법이라는 인식이 다소 약했을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이전에 아무런 범죄 전력이 없는 초범이라는 점 등은 A씨에게 유리한 사정으로 고려되었습니다.
하지만 법원은 이러한 유리한 점들을 감안하더라도, 앞서 살펴본 것처럼 ① 방조 행위 자체의 범죄성, ② 멸종위기종 보호의 중요성, ③ 반복된 범행과 상당한 밀반입 물량 등을 고려할 때 처벌이 불가피하다고 판단하여 벌금 500만 원을 선고한 것입니다.
(마무리)
오늘은 멸종위기종 밀반입, 특히 고래고기 밀수를 도운 ‘방조‘ 행위로 처벌받은 사례를 통해 5가지 중요한 이유를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판결은 단순히 법을 어기는 행위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의 불법 행위를 알면서도 도와주는 것 역시 처벌받을 수 있는 범죄임을 명확히 보여줍니다.
멸종위기종 보호는 우리 모두의 책임입니다. 불법적인 멸종위기종 거래나 밀반입은 우리 생태계를 파괴하고 미래 세대에게서 소중한 자연을 빼앗는 행위입니다. 혹시 주변에서 이러한 불법 행위가 의심되는 경우, 그냥 지나치지 말고 관계 기관에 신고하는 용기가 필요합니다.
또한, “나는 직접 하지 않았으니 괜찮아”, “조금 도와주는 것뿐인데 뭐”라는 안일한 생각으로 불법적인 일에 연루되지 않도록 항상 경계해야 합니다. 잘못된 행동임을 알면서도 돕는 ‘방조‘ 역시 법의 심판을 피할 수 없다는 것을 꼭 기억하세요! 💪
[참고] 이 글은 부산지방법원 2025고단8 판결 이야기를 아주 쉽게 바꾸어 쓴 것입니다.
운행계통 위반 전세버스 불법 운행: 과징금 90만 원, 왜 부과됐나? (법원 판결 5가지 포인트)